RTX 5080 설치기 – 4시간 동안의 험난한 여정
제가 농담삼아 "할아버지 조립식"이라 부르는 이 시스템은 사실 그렇게 낡은 건 아닙니다. AMD 라이젠 7 5800X와 32GB RAM을 탑재했으며, 기가바이트 X570 Aorus Master 메인보드 위에서 작동하는데(이 점이 후에 중요해집니다), 처음엔 그래픽카드 교체가 쉬울 줄 알았습니다. 세상이 제 오만을 단단히 혼내주기 전까지요.
초보자처럼 RTX 3080의 전원 케이블이 5080에서도 작동할 거라 생각한 건 실수였습니다. 새 카드의 3개 어댑터 중 2개에 PCIe 8핀 케이블을 연결했는데도, 부팅 시 GPU LED가 꺼져 있었죠. 훌륭하군.
조립을 풀어헤친 채로, 의외의 구세주를 발견했습니다. 도어대시(DoorDash)죠. 다른 주의 베스트바이에서 코세어 PCIe Gen 5 Type 4 600W 전원 케이블을 배달 받았습니다. 전원이 모자라는 위기엔 극한의 방법도 동원하는 법이죠.
케이블은 한 시간 안에 도착했지만, 승리는 멀었습니다. 메인보드의 VGA 표시등이 빨갛게 타올랐는데, 알고 보니 X570의 거대한 칩셋 팬이 물리적으로 RTX 5080이 PCIe x16 슬롯에 완전히 장착되는 걸 막고 있었습니다. 헛수고 끝에, 어쩔 수 없이 엔비디아의 플래그십 GPU를 PCIe x8 슬롯에 장착했습니다. 최적의 성능은 꿈도 꿀 수 없게 되었죠...
노후 시스템 속 RTX 5080의 성능
다섯 게임에서 진행한 30회의 벤치마크에서, 5080은 제 한정된 환경에서 보통의 성능을 보여주었습니다. 하지만 DLSS 4는? 바로 여기서 엔비디아가 약속한 마법이 펼쳐졌죠. 원래는 개발자가 의도한 대로 게임을 즐기고 싶지만, DLSS 4는 어쩔 수 없는 선택이 되었습니다.
잘 모르시는 분들을 위해 설명드리자면, DLSS 4는 '멀티 프레임 생성' 기술을 도입했습니다 - 실제 1프레임당 AI가 최대 3프레임을 생성하는 거죠. 말 그대로 게임 체인저지만, 지원되는 타이틀에서만 작동합니다. 일반 프레임 생성이 있는 일부 게임은 MFG를 지원하지 않지만, 엔비디아 앱으로 강제 실행할 수는 있습니다.
몬스터 헌터 와일즈: 최적화되지 않은 이 괴물에게 복수하기 시작한 기본 성능은 51프레임(4K/울트라/RT 고옵션, DLSS 끔)이었습니다. DLAA + 2배 프레임 생성으로 74프레임까지 올랐죠 - 목표 달성입니다. 울트라 퍼포먼스 모드? 부드러운 124프레임이 나왔습니다.
어보이드: 이전엔 울트라/4K/RT(35프레임)에서 실행 불가능했지만, MFG가 성능을 113프레임(223% 상승)으로 끌어올렸습니다. 울트라 퍼포먼스는 이보다 두 배 더 높았죠.
오블리비언 리마스터드: 최대의 아이러니 - 20년 된 리마스터가 5080을